호주의 인플레이션율이 올해 1분기 들어 21년 만의 최고치인 5.1%를 기록한 것으로 발표되자 연방총선을 앞둔 정치권에 미묘한 파장을 미치고 있다.
조쉬 프라인드버그 연방재무장관은 즉각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사태 등 최근의 불안정한 국제정세로 촉발된 유탄이다”며 불끄기에 나섰다.
하지만 노동당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전부터 서민 경제가 심각 수준으로 이미 악화되고 있었다”며 정부의 경제 정책 실패를 강력히 제기했다.
이런 분위기 속에 국내 복지단체들은 일제히 “호주 극빈층의 삶은 피폐해졌고 주거 문제는 심각 수준이다”라는 입장을 연이어 내놨다 .
연방정부 산하의 사회복지기관인 ‘호주사회봉사협의회(ACOSS)의 카산드라 골디 위원장은 ABC와의 대담에서 “하루에 단돈 70달러로 연명해야 하는 극빈층이 전국적으로 240만 명에 이른다”면서 “정부의 복지 수당에 연명하는 이들 극빈층의 주거 문제가 심각하다”고 지적했다.
현재 구직 수당 등 실업수당 수급자는 팬데믹 이전 대비 크게 증가한 95만 명 가량으로 추산됐다.
카산드라 골디 위원장은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사태 이후 극빈층이 농촌지역에서 약 20%, 대도시에서 14% 가량 증가한 상태”라며 “정부 차원에서 복지 지원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ACOSS 자료에 따르면 전국에서 무료 급식소를 운영하고 있는 푸드뱅크(Food bank)의 일일 이용자가 현재 100만 명을 넘어선 것으로 추산됐다.
또 다른 복지기관인 세인트빈센트 드 폴 소사이티는 “생필품 구입에 힘겨워하는 극빈층이 전국적으로 300만 명을 넘어선 것으로 추정된다”는 입장문을 발표했다.
이 기관은 하루에 약 46달러로 연명해야 하는 최저 극빈층도 증가세라며 “잔혹한 현실이다”라고 질타했다.
한편 앵글리케어 측은 복지수당 수급자 외에도 최저 소득계층에 속한 서민층의 심각한 주거 문제를 부각시켰다.
앵글리케어는 “무주택 최저 소득층이 현실적으로 입주할 수 있는 일반 임대 주택은 전국적으로 단 2%에 불과하다”는 수치를 제시했다.
앵글리케어 측은 “대도시는 물론 인근의 중소도시에 농촌 지역까지 주택 임대료가 상승하면서 무주택 최저 소득층의 주거 문제가 심각한 상태다”라고 개탄했다 .
앵글리케어 측은 “첫 주택 구매 희망자들의 주택 구입도 중요하지만, 첫 주택 구입을 꿈꿀 수조차 없는 최저 소득층에 대한 정부의 지원 대책이 절박하다”고 지적했다.
이런 상황 속에 자유당 연립정부는 역대급으로 떨어진 실업률을 앞세우며 경제 정책의 성공을 적극 부각시키고 있다 .
TOP Digit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