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모두 다르게 지어졌습니다. 다른 것이 인류에게 주신 큰 축복임을 깨닫는 것은 행복한 삶으로 가는 지름길이며, 다양성을 충분히 누릴 수 있는 기반이 됩니다. 그런데 이러한 다름을 인정하는 것이 쉽지만은 않습니다. 결혼 한 부부들은 누구나가 한 번 즈음은 경험해 보았을 것입니다. 부부치료에 임하는 대부분의 문제가 바로 이 다름에서 발생합니다.
MBTI는 칼 융이 주장한 4가지 선호지표를 발전시켜서 그의 아내와 딸인 Katharine C. Briggs 와 Isabel B. Myers가 완성한 것으로 4가지 선호지표를 활용해서 사람을 16가지 성격 유형으로 구분한 것입니다.
그 중에 한 선호지표인 생활양식을 예로 들어보면, 미리 계획적으로 일을 추진하고 일을 뒤로 미루지 않는 성향의 기질을 가진 사람이 있습니다. MBTI에서는 이러한 사람을 J(판단) 성향을 가졌다고 합니다. 이러한 사람들은 어떠한 계획이든 빨리 결정하기를 원하고 일을 순서대로 계획해서 추진하는 사람들입니다. 한번 결정한 것에 변화 주는 것을 싫어합니다. 그래서 새로운 것이나 더 나은 대안이 있어도 거들떠 보지도 않는 사람들입니다.
그런데 이에 반해 전혀 반대의 성향을 가진 사람들은 P(인식) 성향의 사람들로 결정하는 것을 최대한 유보하는 사람들입니다. 언제든 더 좋은 것이 등장하면 모든 계획을 바꾸고 좋은 것을 선택하는 사람들입니다. 마지막 순간에 초능력을 발휘해서 일을 마무리하는 사람들입니다. 그래서 J 성향을 가진 사람들은 꾸준히 스트레스를 받는 반면에 P 성향은 마무리하는 순간에 극도의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됩니다.
J 성향을 가진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일을 꼼꼼히 잘 진행시킵니다. 그래서 J 성향의 사람들이 보기엔 P 성향의 사람들이 못마땅하게 보이고 게으르고 책임감이 없는 사람들처럼 여겨질 수 있습니다. 미리미리 준비하지 않고 막바지에 밤을 세우는 것이 한심하기에 그지없어 보입니다.
반면 P 성향을 가진 사람들은 최선의 선택은 좀더 자료를 수집한 후에 결정해도 늦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한번 결정한 것은 더 좋은 것이 등장해도 거들떠보지도 않는 J성향이 융통성이 없어 보여서 답답하게 느껴집니다.
그런데 이러한 두 가지 다른 선호 경향은 모두 요긴한 것입니다. J(판단)성향이 없다면 일의 진행이 잘 되어지지 않을 것입니다. 대부분의 조직에서 이렇게 정해진 일을 계획적으로 시간에 맞추어 성실히 일하는 이러한 분들을 절실히 필요로 합니다. 그런데 반해 P(인식) 성향의 사람들은 항상 새로운 것에 열려있기에 더 좋은 선택을 할 수 있습니다.
커플이 만날때, 일반적으로 다른 기질의 사람들을이 만납니다. 직장이나 사회조직에서도 다른 기질의 사람들과 함께 일하게 되는데, 이것은 축복입니다. 서로를 도울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사람들은 나와 다르다’ 라는 것을 이해할 때 배우자가 다른 시야를 가진 것을 이해할 수 있고 나의 것을 강요하는 어리석음을 범하지 않게 됩니다. 다르다라는 것은 불편함 보다 나를 균형있고 건강하게 도와주는 요소로 여겨야 합니다. 어떻게 하면 상대를 바꿀 수 있을까?가 아닌 어떻게 하면 서로를 잘 이해하고 서로 절충할 수 있을까를 생각하는 것입니다. 그렇게 하다 보면 내가 보지 못한 것을 보는 남편에게 또는 아내에게 감사를 표할 수 있게 됩니다. 다양성의 풍성함을 누리게 되는 것입니다.
다른 점으로 인해 비 웃음이 아닌 즐거움의 웃음이 시작될 때 행복은 시작됩니다. 상대방의 부족함을 볼 때 내가 채워줄 수 있는 영역이 있음으로 기뻐하고 즐거워할 수 있습니다. 나의 부족함 또한 보충해줄 수 있는 배우자 혹은 다른 사람이 있음이 창조 섭리의 비밀입니다.
호주 기독교 대학 대표 김훈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