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 커피 체인인 스타벅스의 아성을 위협하며 수 조원대 전 세계 투자금을 빨아들이던 중국 루이싱커피가 결국나스닥에서 상장 폐지된다.
루이싱커피는 26일(미국 시각) 성명을내고, 나스닥을 상대로 한 상장 폐지관련청문회 요구를 취소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루이싱커피 주식은 오는29일부터 나스닥에서 거래가 정지된다.
루이싱커피는 나스닥으로부터 여러차례 상장폐지 통보를 받자, 이에 대한 재고를 요구하며 청문회를 신청한 상태였다.
오는 7월 청문회가 열릴 계획이었지만 스스로 이를 포기하면서 상장 폐지가 확정됐다.
루이싱커피는 지난 4월 작년 2∼4분기 매출 규모가 최소 22억 위안(약 3800억원)부풀려진 것으로 추산된다는 회계 부정사실을 공개해 시장에 큰 충격을 줬다.
이 발표가 나온 4월2일 하루에만 루이싱커피 주가는 나스닥에서 75.57% 폭락했고,순식간에 약 6조원의 시총이 증발했다.
‘스타벅스를 잡겠다’며 호기롭게 내민 루이싱커피의 도전장은 투자자들에게 수조원대에 달하는 막대한 피해만 남긴 채휴지조각이 됐다.
미국과 중국 관계 당국은 각각 루이싱커피의 회계부정 의혹에 대한 조사를 벌이고 있다.
일부 중국매체는 루이싱커피회장이자 최대 주주인 루정야오(陸正耀)가 회계 부정에 직접 관여한 정황이 나옴에 따라, 중국 당국의 형사 처벌을 받을 것이라고 보도했다.
루이싱커피는 이날 상장폐지를 예고하면서 루정야오의 사퇴를 요구했다고 공개했다.
미중 갈등이 고조되는 가운데 터진 루이싱커피의 대형 회계부정 사건은 양국증시 디커플링(탈동조화)의 결정적 계기가 됐다.
미국은 상장을 준비하는 중국기업들의 경영 투명성에 의문을 제기하며 규제를 한층 강화했다.
앞서 미 상원은 지난달 20일 여야 만장일치로 미 상장기업회계감독위원회(PCAOB)의 회계감사를 통과하지못한 기업의 상장 자체를 허용하지 않는 법안을 처리했다.
나스닥도 자체적으로중국 기업의 상장 기준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규정을 개정했다.
루이싱커피 사태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 등으로 중국 기업들의 미 증시 상장 움직임은 크게 위축된 상태다.
넷이즈와 징둥 등 미국에 상장했던 중국 대형 기술기업들이 잇따라 홍콩에서 2차 상장을 하면서 미국 자본시장에서 서서히 발을 빼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한국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