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앙컬럼] 신학 공부의 필요성

479

한국 교회 안에는 신앙이면 되지 신학이 무슨 필요가 있단 말인가?” 하며 신학과 교리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다하지만 그것은 잘못된 생각이다. 1970-80년대에도 이단들이 있기는 했지만 그때는 교회마다교단별 학습세례 문답서가 있었고대부분의 장로교회는 웨스터민스터 소요리문답서 등으로 교리 공부들을 철저히 시키는 바람에 이단들이 교회에 발을 붙이기가 힘들었다하지만 1980년대를 지나면서 한국교회에 소위 “QT” 와 “경배와 찬양” 바람이 불면서 퀘퀘묵은 교리보다는 삶이 중요하다는 인식이 들어오기 시작했고이러한 인간의 정서를 중요시하는 신앙태도는 점점 신앙을 감정과 정서중심으로 몰아가기 시작했다.

인간정서에 기반을 둔 신앙의 한계성

물론 ”QT”와 “경배와 찬양”이 중요하지 않다는 것이 아니다필자도 QT를 통해 살아계신 하나님과의 생생한 교제를 맛볼 수 있었고 신앙의 성숙 또한 어느 정도 경험할 수 있었다그리고 경배와 찬양은 어떠한가많은 경우 젊은이들을 교회의 예배로 이끌고 찬양가운데 하나님을 만날 수 있도록 하는데 많은 공헌을 한 것은 사실이다하지만 바른 신학적교리가 없는 가운데 이루어지는 이러한 신앙의 정서적 부딪힘은 사람들을 감정중심의 신앙으로 이끌고 신앙의 견고한 토대위에 세워놓는데 한계가 있다필자도 예전에는 신학과 “교리”라는 말을 들으면 왠지 딱딱하고 오래된 전통에 갖혀 있는 퀘퀘 묵은 것을 꺼내 놓는것 같아 싫어했던 적이 있었다하지만 신학을 공부하면서 교리가 얼마나 중요한 것이고 바른 교리가 없는 신앙생활이야 말로 바로 모래위에 지은 집처럼 무너지기 쉬운 것임을 깨닫게 되었다.

사실 철저한 신앙은 확실한 지식에서 비롯되는 것이며 자신이 믿는 바를 정확하게 진술하고 확실하게 고백할 수 있어야 한다그런 의미에서 신학은 신앙의 한기능이다.”라고 말한 빌브리트 해를레(Wilfried Harle)의 말은 옳다이것을 다른 말로 환원하면 신학적 사고는 단지 신앙에 관한 사고만이 아니라 신앙하는 사고” 라는 말로 바꿔 표현할 수 있다.

질문하는 신앙

한국적 정서에서는 오히려 신앙적인 질문을 하면 의심이 많고 믿음이 부족해서’ 그렇다는 인식이 박혀 있는데 그것은 바른 태도라 할 수 없다부활하신 예수그리스도를 직접 만나서 그의 몸을 만져보기 전까지 그리스도의 부활을 믿을 수 없다(20:20-26)는 도마의 태도는 의심많은 도마” “회의적인 도마등 믿음이 부족한 자의 표상으로 한국교회에서는 일반적으로 평가되어져 왔다그러나 그의 의심을 예수는 결코 꾸짖거나 나무라한 적이 없다오히려 요한복음 기자는 도마를 다양한 믿음을 소유한 제자들 중 한 사람의 예로 설명하는 것을 볼 수 있다도마는 솔직하고 학구적인 사람이었다그의 믿음은 철저한 신앙적인 고민과 질문을 통해서 확립되어져 왔다.

사실 신앙은 무조건 믿나이다식의 맹목적인것이 아니라 베뢰아 사람들의 태도처럼 성경을 간절한 마음 으로 대하고 날마다 깊이 상고하는 이성적이고 지성적인 태도가 더 바람직 하다고 볼 수 있다.

베뢰아에 있는 사람들은 데살로니가에 있는 사람들보다 더 너그러워서서 간절한 마음으로 말씀을 받고 이것이 그러한가 하여 날마다 성경을 상고하므로” (17:11)

신학교육의 필요성

왜 요즘 교회는 신학과 교리를 가르치지 않는가그것은” 빨리빨리”의 정신이 교회안에서도 사람들의 생각을 오류로 인도하고 있기 때문이다어느 세월에 지루한 신학과 교리공부를 통하여 사람들을 변화시키고 바로 세운단 말인가요즘 교회들은 교리 공부보다는 여러 행사들을 동원해서 사람들을 모으는데에 더욱 많은 혈안들이 되어 있다옥성호 씨의 책제목이 시사하듯 현대교회는<마케팅에 물든 교회>, <심리학에 물든 교회>, <엔터테이먼트에 물든 교회>등 심각하게 세상적인 가치에 물들어 있다과연 누가 요즘 같은 시대에 신학과 교리를 배우려고 한단 말인가교회에 만연되어 있는 이러한 교리와 신학에 대한 거부감은 교회에 심각한 신앙의 지성적 토대를 무너뜨리고 성도들을 감정과 기복의 바람에 흔들리기 쉬운 갈대 신자들로 만들고 있다.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비뚤어진 성령운동과 심리상담학적설교 그리고 기독교의 축복이 마치 물질적인 풍요와 신유은사로 대표되어진 듯한 풍조속에서 오도되고 있는가신앙이 있는것 같지만 조금만 바람이 불고 폭풍이 몰아치면 여지없이 쓰러지고 갈팡지팡하는 교인들을 쉽게 볼 수 있다심지어는 조금만 어려움이 와도 교회를 쉽게 떠나는 교인들그것은 결국 올바른 신학과 교리를 배우지 못했고 신앙을 바른 진리의 체계위에 세우지 못했기 때문이다.

신학과 교리를 바로 배우지 못하면 마치 신앙이 신비스러운 경험들을 찾아 헤메는것으로만 생각 하든지아니면 현세에서 맛보는 기복과 풍요가 신앙의 전부인것으로 착각하고 현세의 축복만 찾아 헤 메는 사람들을 양산시키는 저급한 종교로 전락되어질 수 있다.

그 동안의 한국교회의 모습에서 우리는 이런 모습들을 발견할 수 없다고 부인하지 못할 것이다인간들은 나름대로 갖가지 생각들과 독단들을 가지고 살고 있고신앙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자신들이 경험한 것만이 전부라는 착각의 동굴안에 갖혀 살면서도 깨닫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그렇지만 신학과 교리는 올바로 판단하고 규정할 수 있는 규칙과 표준을 우리에게 제공한다특별히 소년기의 자녀들과 무지한 자들을 잘못된 이단적인 가르침과 거짓 이교도들에게 분리시키는 목적에서도 신학과 교리교육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역사적인 증명

또한 신학과 교리를 가르쳐야 할 분명한 이유는 역사속에서 교회가 경험한 정황이 그것을 증명해 주고 있다초대교회 이래 교회는 신학과 성경교리가 믿음을 지키고성도의 신앙을 성숙시키는데 가장 필수적이라는 사실을 깨달았다유세비우스(Eusebius of Caesarea)는 오리겐(Origen)이 박해의 시기동안 시행되지 못했던 요리 문답 교육의 관습을 알렉산드리아에서 부활시켰다고 전한다뿐만아니라 소크라테스(Socrates) 도 초기교회의 요리 문답교육의 체제에 대하여 이렇게 쓰고 있다.; “우리의 요리 문답 교육의 형식은 우리 앞의 감독들에게 서 전수 받은 양식과 일치하며따라서 우리가 믿음의 기초를 세우고 세례를 받을 때에 가르침 받은 바와 일치하며 또한 성경에서 배운 바와도 일치한다.”

신학교육의 또다른 중요성은 그것은 구원의 길에 대해 설명해주고 성도에게 위로를 가져다주기 때문이다교회가 가르쳐온 교의는 율법과 복음으로 나눌 수 있고 율법을 십계명으로 설명한다면복음은 교리적으로 어떻게 정의될 수 있을까복음을 간결하고 핵심적인 교의로 설명한다면, “복음은 중보자 그리스도와 또한 믿음으로 말미암아 값없이 죄를 씻음에 관한 교의라고 정의해 볼 수 있다인간은 이 복음이 아니고서는 구원을 경험할 수 없고이 복음은 비참함에 빠진 인간에게 구원과 위로를 가져다주는 유일한 희망이다그 러므로 우리는 그리스도가 성경 전체의 골자요 근거이며그리스도가 베푸시는 은택들을 알기 위해서는 율 법과 복음에 포함되어 있는 교리를 필수적으로 알아야 하는 것이다.

반면에 보통 우리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신앙을 소개할 때에 보통 본인의 경험이나 체험등을 강조하는 것을 볼 수 있다그러다 보면 자기가 경험한 것이 기독교 신앙의 전부인 것처럼 소개될 수도 있고 주관적인 독단을 가지고 기독교가 추구하는 바른 진리를 왜곡시킬 수도 있다그러나 신학이 분명한 사람은 신앙에 대해 성경이 무엇을 말씀하고 있는지 바른 진리를 올바로 선포할 수 있게 된다.

효과적인 신앙체계 세우기

무엇보다도 우리는 신학과 교리공부를 통해 수 천년 교회 역사 가운데 교회가 믿고 고백하고 있는 통일되고 일관성 있는 성경의 내용과 논리적인 신앙진술들을 정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성경을 아무리 많이 읽어도방대하고 어려운 성경의 내용을 일반 사람들이 올바로 이해하고 깨닫기는 쉽지 않다그래서 신앙의 선배들이 수고하여 구축해논 성경의 일관된 내용과 체계들을 통하여 우리는 성경의 분명하고 핵심적인 진리를 깨달아서흔들리지 않는 믿음을 붙잡을 수 있는 것이다.

이제 교회는 신학과 교리를 바로 가르쳐야 한다종교개혁시기에 로마 교회는 교회전통을 성경보다 우위에 두었다이에 종교개혁가들은 성경의 권위와 진리를 회복하고자 개혁의 기치를 높이 든 것이다그러나 지금의 시대는 거꾸로 되어가고 있다오히려 가톨릭교회가 개신교보다 교리공부에 더 열심들을 내고 있는 양상이다.

이제 개신교회는 교리들을 가르쳐야 한다시간이 걸리더라도 바른 신앙의 체계와 신앙의 지성적 토대를 세워 교회를 바로 세우고 복음을 복음되게 하기 위해 신학과 교리들을 가르쳐야 할 것이다.

www.accu.edu.au info@accu.edu.au 02 6255 4597

주경식 (호주기독교대학 ACT 신학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