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한 분은 자신이 너무나 뛰어난 존재라고 믿는다. 그런데, 상황이 잘 펼쳐지질 않아서 나이 60이 되어도 아직도 삶이 이모양이라고 생각을 하면서 살아간다. 자신이 얼마나 이기적이고 주위에 있는 사람들을 얼마나 배려하지 않으며, 사람들을 통제하며 조정하며 상처를 주고 있는지를 알지 못한 채, 좀 더 좋은 학위가 있다면 좀 더 좋은 곳에서 일을 한다면 자신이 달라질 수 있으리라 생각하며 살아간다. 그 사람 주위에 있는 사람들은 조금만 그 사람과 지내고 나면 그 사람을 싫어하게 되는 데도 말이다. 이사람은 자신의 삶의 성공의 비결을 내면에서 찾기 보다는 외부에서만 찾고 있는 사람이다.
어떤 한 사람은 자신이 너무나 부족하다고 믿는다. 외모도 괜찮고 지능지수도 높고 전문 직장에 다니며 인정을 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은 사람들과 관계를 잘 맺지 못하고 삶에서 실패하며 부족한 것 투성이라고 늘 생각을 한다. 주위에서 당신은 “괜찮은 멋진 사람입니다.” 라고 말을 해도 그것이 진심으로 받아들여지지 않아서 사람들에게 더 다가가지 못하고 상당히 고립적으로 살아간다. 이 사람은 자신의 관계적 문제가 삶에 있어 성공을 가져다 주지 못한다고 바라본다.
위의 두 가지 이야기의 주인공들은 아주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지만 실제로는 뿌리가 같다고 볼 수 있을 것 같다. 어떤 뿌리가 있을 까? 이들의 깊은 내면 속에는 “열등감 콤플렉스“가, 다른 말로 하면 “낮은 자존감“의 문제가 삶의 어려움을 일으킨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이 열등감의 모습이 서로 반대되는 모습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첫 번째 사람은 내면 깊은 곳에서 들리는 “나는 열등한 사람이야” 라고 하는 메시지를 받아들이기를 거부한 사람이다. 그것을 받아들일 수 없기 때문에 그것을 억압하고 인정하지 않으며 반대의 삶을 추구하는 사람이다. 이런 사람들은 자신의 열등함을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자존심‘을 많이 앞세운다. 자신이 알고 있는 지식, 자신이 하는 일, 자신의 학위 등을 타인에게 자랑하고 싶어하고 자신의 연약함은 전혀 보지도 않고 드러내지 않으며 자신의 특별함만을 앞세우고 자랑한다. 그리고 타인이 자신보다 못한 부분들을 보일 때 쉽게 판단하며 무시하고 자신의 하수인처럼 부리고 조정하려고 한다. 그러다 보니 이 사람을 통해 배울 것이 많겠다고 처음 생각했던 사람들도 시간이 지나면서 이 사람을 떠나게 된다. 그래서 이 사람은 외로운 사람이 된다.
두 번째 사람은 사람들에게 자신을 자랑하는 모습과는 반대의 모습을 보인다. 자신의 ‘열등감‘ (나는 타인과 다른 무엇인가 부족하고 문제가 있는 사람이라고 보는 시각)을 진리라고 생각하고 깊이 받아들이고 느낀다. 일어난 많은 일들에 대해서 자신을 탓하고 세상과 타인을 너무나 큰 대상으로 바라보아서 그 세상에서 용감하게 살아가지 못하는 자신에 대한 연민과 분노로 인해서 괴로와 한다. 그래서 사람을 만나는 것을 피하고 세상에 도전하는 것을 피하며 세상을 살아가려고 노력한다. 어떻게 보면 이 사람은 착한 사람일 수 있는데 타인에게 피해를 주지 않기 위해 자신이 안전하다고 생각하는 안전 지대 속에서만 머물러 있는다. 그 속에서 있는 안전함을 추구하면서도 마음 깊은 곳에서는 사람들과 어울리고 세상 가운데 들어가고 싶고 새로운 것을 시도하고 싶은 마음들이 많이 있다. 그는 그 사이에서 갈등하며 슬퍼하며 자신을 자책하여 연민 속에 빠진다. 그것이 깊어지면 아무 것도 하기 싫은 무기력함 가운데 들어가게 된다. 그래서 이 사람도 외로운 사람이 되었다.
위의 두 사람의 열등감은 어디로 부터 온 것일까?
많은 이유들이 있지만 이들의 근본적인 열등감은 자신이 태어난 원가정 (Family of origin)에서 온 것처럼 보인다. 첫 번째 사람과 두 번째 사람은 공통점이 있었다. 그것은 두 사람 모두 자신이 태어난 가정 안에 한국에서 가장 좋다는 대학을 들어간 가족 구성원 (Family member)이 있었다는 점이다. 자신도 모르게 그 가족 안에서 그와 다른 자신을 보면서 첫 번째 사람은 자신은 그 사람을 자신과 동일시하면서 자신이 특별한 사람이라고 믿고 싶었고 그래서 그런 사람인 것처럼 살았다. 그 모습이 다른 사람을 통제하고 지배하는 모습으로 나타나게 되었다. 그에 비해 두 번째 사람은 그 가족 구성원을 싫어하지만 그 구성원과 자신을 동일시함으로 그 사람이 아닌 자신을 원망하면서 살면서 삶에서는 회피형의 모습으로 사회적인 관심을 가지지 않고 살아가는 것이다.
생각 외로 너무나 많은 사람들이 거울에 자신을 비추어 보듯이 있는 그대로 자신을 바라보지 못하고 자신을 과장되게 해석하거나 때로는 과소평가하는 우를 범한다. 바로 깊은 내면 속에 있는 ‘열등감 컴플렉스‘라고 하는 부정적 감정이 나를 있는 모습 그대로 바라보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열등감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 ?
개인 심리학의 알프레드 아들러는 어린 시절에 원가정에서 형성된 개개인의 ‘열등감‘은 우월성으로 극복할 수 있는데 이것의 한 가지 방법으로 사회적 관심 즉 다른 말로 하면 ‘사회에 봉사‘를 하면서 극복이 될 수 있다고 설명을 한다. 위의 두 예에서 나타난 사람들은 열등감을 극복하지 못하고 여전히 힘들어 하는 것이 어쩌면 사회적 참여가 없는 외로운 삶의 모습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일 수 있다. 열등감이 사회적인 고립을 가져다 주었을 수도 있고 반대로 사회적인 참여를 하지 않기 때문에 열등감이 심화되어질 수도 있는 지도 모른다. 사회에 관심을 갖는 것은 여러가지 도움을 준다. 예를 들어 봉사 활동을 하게 되면 내가 무엇인가에 기여할 수 있다고 하는 자기 효능감을 느끼게 하며 자기 가치감을 느끼게 한다. 또한 사람들과 함께 하는 법을 배우게 되면서 내가 혼자가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된다. 물론, 그 안에서 아픔을 경험하게 될 수 있다. 나의 연약한 점을 바라볼 수 있게 나를 자극하는 사람을 만나게 되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그것이 결국은 나를 성장시키게 하는 좋은 도구가 되기 때문에 사회에 참여한다는 것은 나의 깊은 열등감을 해소하는데 큰 역할을 할 수 있다.
두 번째로 열등감에 벗어나기 위해서 도움이 되는 것은 나의 열등감을 탐색해 보고 인정하는 것이다. 누군가 나의 연약한 점에 대해서 지적했을 때 그것을 개인적인 상처로 받아들이기 보다 ‘누군가가 이런 말을 하면 내 안에서는 이런 반응이 일어나는구나!’, ‘내 안에 이런 반응이 나타나는 것은 내 안에 있는 이런 필요가 채워지지 않아서 그렇구나! 그래서 내가 슬프고 화가 나는 구나!’ 라고 나의 연약한 감정을 그대로 존중하고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것이다. 그것은 나의 열등감을 자극시키지 않게 하고 나의 감정과 생각을 존중하게 함으로 열등감을 벗어나게 하는데 도움이 된다. 내 감정이 힘들고 어려울 때 그 감정과 그 감정과 관련된 생각 속에 빠져들지 않고 관찰해 보려고 하는 것이 나의 열등감을 이해하고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세 번째로 열등감에서 벗어나는 방법은 외적인 것에서 성공을 찾지 않고 내적인 가치를 찾고 그것에 접촉하는 삶을 매일 매일 살아가는 것이다. ‘어떤 직업인이 되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어떤 사람으로 살아가는 것이 더 중요하다.’ 라고 말한 어느 추기경의 말처럼 ‘부, 명예, 쾌락‘에 가치를 두지 않고 ‘사랑, 봉사, 이해, 도전‘과 같은 아름다운 가치를 삶의 목표로 추구한다면 누구나 열등감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이다. 오늘 작은 사랑을 실천하면서 살아가는 것은 누구에게나 가능한 부분이기 때문이다.
‘열등감‘은 우리를 사회적으로 고립되게 하고 피해의식으로 나와 이웃을 힘들게 하는 부정적 감정이다. 그러므로 열등감으로 나를 속이고 나를 병들게 하지 말고 내 속에 있는 열등감을 인정하고 돌아보아 성숙과 사회적 관계 확장으로 나아갈 수 있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