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안에 ‘안전 불량’ 리콜 제품 수두룩
연간 660만 제품 리콜 불구 회수율 50% 불과
호주 소비자 감시단체가 수백만 개의 리콜 대상 제품이 시중에 여전히 유통되고 있어 국민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최근 발표된 호주경쟁소비자위원회(ACCC)의 통계자료에 따르면 현재 약 660만 개의 제품이 자체리콜 대상으로 등록됐으나 리콜 완료율은 절반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4가구 중 1가구가 잠재적 위험에 노출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사라 코트 ACCC 위원장은 “놀랍게도 호주엔 리콜 제품 유통 금지법이 마련돼있지 않다”며 대신 사업자들이 제품에 대한 안전 보장 의무를 준수하도록 정부에 호주 소비자보호법 강화를 권고했다.
교통 사고를 제외할 때 일반 가정용 제품으로 인한 사망자는 연평균 780명, 약 5만2,000명의 부상자가 발생한다. 이는 의료 비용 및 생산성 손실 등 최소 50억 달러에 달하는 막대한 규모의 경제적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ACCC에 등록된 안전 리콜 제품 중 유아용 장난감이나 의류, 가구 등 어린이 제품이 약 3분의 1을 차지했다. 동전 크기의 버튼형 수은전지를 삼킨 영유아가 사망한 사례가 여러 번 발생했음에도 버튼형 건전지 구동 장난감은 여전히 유통되고 있는 실정이다.
2017년 12월 이후 17명이 넘는 어린이가 결함 및 불량제품 사고로 중상을 당했다. 특히 시중에서 팔리는 휴대용 아기침대 제품의 98%가 소비자권익단체 초이스(Choice)의 안전시험을 통과하지 못해 가장 위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다음으로 유모차(83%)와 일반 아기침대(59%)가 미안전 제품으로 분류됐다.
올해는 차량 관련 리콜 행렬이 끊임없이 이어졌다. 호주 역대 대규모 타카타 에어백 리콜 사태는 여전히 진행 중으로 약 50만 대의 차량이 아직 서비스를 받지 않은 것으로 집계됐다.
마즈다는 이달 초 카본 퇴적물로 인한 엔진 마모를 사유로 2012-18년식 마즈다 3, 6, CX-5 디젤 모델 3만5476대를 리콜했다. 지난 9월에는 미쓰비시 파제로(Pajero) 차종에서 조종 장치 결함이 발견돼 관련 차량 6,000대 이상이 리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