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는 지금, ‘빈 일자리’ 급증.. 노동시장 회복 기대감 커져, 일부 산업 인력 부족, 기업은 ‘구인난’ 가중

200

기업의 노동 수요와 일자리 수요가 늘어 ‘빈 일자리(job vacancy)’가 급증하고 있다. 경제전문가들은 이를 경제 회복의 증거로 보는 한편, 고용주들은 되레 구인난을 겪고 있다.

통계에 따르면, 올해 2월의 빈 일자리는 28만 9000개였다. 이는 지난 3개월 동안 13% 오른 수치다. 특이한 지점은, 민간부문(26만 300명)이 공공부문(2만8400명)보다 일자리 공석이 훨씬 많다는 점이다.

캐피털이코노믹스(Capital Economic)의 벤 우디(Ben Udy) 이코노미스트는 “표면상으로 볼 때 이는 올해 중반까지 실업률이 5% 이하로 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분석했다.

물론, 전문가들은 빈곤선 아래의 실업급여(JobSeeker) 액수와 그간 고용 관계를 지탱해 오던 일자리유지보조금(JobKeeper)의 중단이 실업률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확신하지 못한다.

스티븐 케네디 재무부 차관보는 지난달에 몇 달 동안 실업률이 상승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잡키퍼 종료 여파로 약 10~15만 명이 실직하고, 실업률이 다시 하락하기까지 시간이 걸릴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하지만 빈 일자리의 급증을 경제 회복의 계기가 될 증거로 보는 전문가도 있다. 빈 일자리가 많아진다는 사실은 기업의 노동 수요와 일자리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실업률은 당초 예상보다 빠르게 감소하고 있다. 지난 2월 실업률은 6.3%에서 5.8%로 떨어졌다. 호주중앙은행은 올해 말까지는 실업률이 6%를 넘고, 2022년 말에야 5.5% 밑으로 내려갈 것으로 전망했었다.

호주 통계국(ABS)은 숙박, 요식업, 소매, 건설, 보건, 사회서비스 등 산업에 수 천개의 빈 일자리가 있다고 보고했다. 일부 산업에는 뚜렷한 노동력 부족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기업 여건과 정서에 대한 최근 조사 결과를 보면, 지난 3월, 기업의 19%가 향후 3개월 동안 직원 수가 많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이렇게 답한 기업의 절반 이상(58%)은 해당 일자리가 정규직으로 전환될 것으로 기대했다.

하지만 직원이 충분하지 않은 고용주의 경우, 3분의 2 이상(68%)이 그 주된 이유를 알맞은 직원을 구하지 못해서라고 말한다. 이 문제는 대기업(직원 200명 이상)과 중견기업(직원 20명~199명)에서 심각하다.

대기업이 직원을 찾기 어렵게 만드는 또 하나의 요인은 국경 폐쇄다. 호주의 백신 접종 속도는 늦어지고 있다. 코로나-19를 억제하기 위한 연방정부와 주정부의 경계 폐쇄 정책들은 노동시장의 회복을 방해할 수 있다.

yklee@hanho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