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베이비 슬럼프’에 빠져 예산 부족 심화 우려

285

올해 출산율 1.6명, 정부 1.9명 ‘과대 예측’
“5년간 28만명 미달.. 경기 부양책 출산 장려해야”

코로나 사태로인한 장기 경기침체와 정부의 출산율 전망이 빗나가면서 예산에 구멍이 날 우려가 제기됐다.

최근 호주국립대학(ANU) 인구통계연구소가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호주 합계출산율은 내년 1.59명까지 추락한 뒤 2024년 1.69명까지 상승했다가 2030년쯤엔 다시 1.62명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측됐다.

반면 정부가 2019~20년 예산안에 적용한 합계출산율은 1.9명으로 작년 1.78명보다 높게 책정됐다. 이는 코로나-19 사태 발생 전 인구증가율을 고려해 추산된 것으로 현재 국경 폐쇄로 인한 이민율 하락, 유학생 급감 등의 여파로 호주 인구증가율이 1차 세계대전 이래 최저 수준으로 떨어질 것이란 관측이 나왔다.

하지만 출산율 하락세는 비단 코로나-19 때문만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출산율은 코로나 사태 이전에도 감소했다. 호주 합계출산율이 1.9명 이상이었던 해는 1980년 이후 11차례에 불과했다. 마지막 발생 연도는 2012년으로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에 시작된 베이비붐의 영향이 컸다. 그 이후 지금까지 출생율은 14%가량 떨어졌다.

합계출산율 궤도가 정부의 전망치를 벗어나면서 출생아 수가 매년 5만6천명, 2024년까지 28만명 가량 미달될 것으로 전망됐다. 이는 이미 2천억 달러 이상의 적자가 예측된 10월 6일 발표 예산안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글로벌 경제분석 연구소인 비아이에스 옥스퍼드 이코노믹스(BIS Oxford Economics)의 사라 헌터 수석연구위원은 “출산율 저하 및 인구 감소는 궁극적으로 국가 노동력의 감소로 이어져 결국 국가재정이 타격을 받게 된다. 출산율 하락이 정부 예산에 즉각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겠지만 중장기적으로 심각한 재정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지난해 출산율 전망에 대해 우려를 제기했던 크리스티나 키넬리 야당의원은 “출산을 장려하기 위해 정부는 일자리 창출과 경제성장을 보장할 확실한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hong@hanho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