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킨지 “내년 3월까지 27만-64만명분 고용 감소” 전망
“정부 지원 중단하면 실업률 늘고 가계 소득 감소”
세계적인 컨설팅 기업 맥킨지(McKinsey)는 내년 3월까지 호주에서 33만개 이상의 소매, 건설업 일자리가 사라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맥킨지는 올해 상반기 중 호주 전체 산업에서 74만개의 일자리가 사라졌는데 2021년 3월까지 추가로 총 27만개에서 64만개의 일자리가 줄어들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한 정부의 보조가 줄어듦에 따라 가계 수입은 감소하고 실업률은 크게 늘 것으로 예상했다.
맥킨지는 4월부터 6월까지 3개월간 소매업에서 사라진 일자리가 4만2천개였는데 7월부터 내년 3월 사이에 17만 3천개의 일자리가 추가로 사라질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건설업에서도 지난 3개월간 4만6천개의 일자리가 사라졌으며 앞으로 추가로 약 15만9천개의 일자리가 사라질 것이라고 예측했다.
CFMEU 산하 건설노조의 데이브 누난 사무총장은 “이러한 일자리 감소는 예상된 것이다. 정부는 수요가 많은 저가의 주택 건설을 장려하기 위해 지원금 투입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무엇보다 관광업 등 다른 산업 부분의 고통이 일시적인 것과는 달리 소매, 건설 부분의 부진은 경기 순환 자체에 충격을 줘 그 영향이 영구적이며 구조적이 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우려된다.
맥킨지 시드니지사의 사이먼 케네디 선임 파트너는 “소매 판매가 온라인 중심으로 변경되면서 매출 1달러 당 필요한 점원의 수가 줄어들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일자리유지보조금(JobKeeper), 구직 지원금 (JobSeeker), 퇴직 연금(Superannuation) 조기 수령 등 정부 지원금은 7월 300억 달러, 8월 230억 달러, 11월 140억 달러, 내년 1월 70억 달러로 점차 감소한 뒤 내년 5월 완전히 중지된다.
정부는 빅토리아주에 4단계 록다운이 선포된 후 잡키퍼 수령 기준을 완화한 후 추가로 150억 달러를 지원하기로 했지만 지원금 액수를 점차 줄여 간다는 계획에는 변함이 없다고 밝혔다.
맥킨지는 현재까지 전문직, 제조업, 교육산업 부분에서도 약 4만-4만6천개의 일자리가 사라졌으며 앞으로도 최소한 이보다 더 많은 수의 일자리가 사라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editor@hanho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