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8일 2차 토론 생계비, 에너지비용, 주택난 공방
강경 어조로 상대 비반, 고성 교환
스콧 모리슨 총리와 앤소니 알바니즈 야당대표가 총선 최대 이슈인 ‘생계비’를 놓고 2차 토론회에서 격돌했다.
여야 대표는 8일 토론회에서 전기요금, 임금 인상 등의 사안을 두고 서로 주장을 앞세우며 치열한 어조로 논쟁을 했다.
3일 이자율이 인상된 것을 계기로 2차 토론회의 중심 의제 중 하나는 단연 생계비 문제였다. 올해 총선에서 유권자들은 연립과 노동당이 생계비 압박 문제를 어떻게 완화할지 주목하고 있다.
모리슨 총리는 “노동당이 공약한 에너지 전환 정책의 비용이 소비자에게 전가돼, 전기요금이 오를 것”이라고 공격했다.
알바니즈 야당대표는 “그런 주장에 동의하는 에너지 경제학자는 없다”고 반박하면서 연립은 향후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목표를 상향할 뜻이 없다”고 비난했다.
그러자 모리슨 총리는 “2035년까지의 배출량 감축 목표치를 2005년 대비 26~28%보다 더 높이는 것은 좋은 정책이 아니다”라고 기존 입장를 고수 했다.
그는 정부가 생계비 경감책 일환으로 시행한 유류세 인하와 세금 감면을 언급하며 유권자 설득에 나섰다. 그는 “호주가 해외의 모든 압박을 통제할 수는 없지만, 돈을 잘 관리해서 인플레이션에 하방 압력을 가할 수는 있다”고 주장했다.
알바니즈 야당대표는 “모리슨 총리가 말한 생계비는 모두 일시적”이라고 꼬집고 “노동당이 인플레이선 압력 없는 경제 성장을 목표로 하는 더 저렴한 육아비와 약품비 정책을 고안했다”고 맞섰다.
9월에 종료되는 유류세 인하 조치 연장에 대해 모리슨 총리와 알바니즈 야당대표 모두 부정적이었다.
알바니즈표는 임금상승률이 물가상승률을 앞서도록 보장할 수 있느냐는 질문에 “우리의 목표는 실질 임금 인상이며 이를 위한 현실적인 계획을 갖고 있다”며 노동당 정부하에서 임금이 더 높을 것이라고 약속했다.
노동당은 앞서 집값 폭등과 그에 따른 임대료 앙등에 직면한 청년층을 위해서 소셜하우징 투자를 확대하고 필수 노동자를 위한 저렴한 주택 1만 호를 공급하겠다는 공약을 발표했다.
모리슨 총리는 팬데믹 기간에 늘어난 국가 부채를 젊은 호주인들이 어떻게 값을 수 있느냐에 대한 질문에 충분한 일자리를 제시했다. 그는 팬데믹 극복과 경제 회복을 견인한 일자리유지보조금(JobKeeper)을 강조하면서, 청년들이 “다른 선진 경제보다 더 강력한 일자리를 갖게 될 것”이라고 자신했다.
토론회에서 중국-솔로몬제도 안보협정 체결을 둘러싼 국가안보 문제, 반부패 감시 기구인 연방청렴위원회 설치에 대한 문제도 다뤘다.
2차 토론을 진행한 채널 나인(Channel 9)의 ‘시청자 평결’은 1차 토론회는 모리슨 총리에게, 이번 2차 토론회에서는 알바니즈 대표에서 승리를 안겼다.